건강정보
A형간염
A형간염이란?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가 원인이 되어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간염입니다.
A형간염 전파경로
A형간염은 분변-경구 경로로 전파되며, 대부분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적으로 전파되거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전파되기도 합니다. 간혹 가족간이나 성접촉에 의해 전염될 수 있고 드물지만 수혈을 통한 전파도 가능합니다.
A형간염의 증상
잠복기 동안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A형간염 바이러스의 배출은 증상이 나타나기 1~2주 전에 가장 많이 나와 이 때가 가장 전염력이 높은 시기입니다. 전형적인 증상은 고열, 권태감, 식욕부진, 오심, 복통, 진한 소변, 황달이 급격히 발생하고 증상의 발병 양상은 환자의 연령과 관련이 있는데, 6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약 70%에서 간염의 증상이 없으며 증상이 있어도 황달은 동반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6세 이상의 소아나 성인에서는 간염의 증상이 대부분 동반되어 환자의 70%에서 황달이 동반됩니다.
A형간염의 치료
- 1) 일반적인 치료 원칙
- 소아의 경우 A형 간염에 걸리면 대부분 감기처럼 앓고 지나가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20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급성 간염이 유발되고 한 달 이상 입원이나 요양을 해야 하는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침상 안정, 적절한 영양공급 등의 보존적 치료
- 회복기까지 금주, 성관계 피할 것 (상대가 예방요법 받을 때까지)
- 2) 예후
급성 A형 간염의 경우 85%는 3개월 이내에 임상적, 혈액학적으로 회복되며, 이후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과 달리 만성화 되지 않고 대부분 완전히 회복됨. 그러나 연령이 증가하거나, B형 또는 C형 간염 등의 만성 간질환을 가진 경우에는 간염 증상이 급속도로 악화되어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 수 있음.
A형간염 예방
- 1) 손 씻기 ( 화장실 다녀온 후, 음식을 조리하거나 먹기 전)
- 2) 음식은 익혀서 먹기
- 3) 예방접종
- ① 접종대상
- 가.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가 없는 소아
- 나. 최근 20대에 항체 양성률은 15.8%(2006년)로 성인의 경우에는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다음 경우에 접종이 권장됨
- A형간염의 풍토성이 높은 지역으로 여행하는 경우 (미국, 캐나다, 서유럽, 북유럽, 일본, 뉴질랜드, 호주 이외의 국가)
- A형간염의 풍토성이 높은 지역으로 파견되는 군인 또는 외교관
- A형간염 바이러스를 다루는 실험실 종사자
- 혈우병 환자
- 남성 동성연애자
- 약물 중독자
-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하는 사람
- 만성 간질환 환자
- ② 접종시기 : 만 1~16세에 1회 접종, 접종 후 6~12개월에 2회 접종
※단 접종약에 따라 접종시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 ① 접종대상
A형간염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A형간염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
A형간염 감염자와 접촉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감염자의 경우 증상발생 후 2주간(또는 황달 발생 후 1주간) 장내배설물을 격리처리해야 하며, 감염자와 접촉한 경우 최초 접촉일로 부터 1주일 이내인 경우 백신을 접종하거나, 2주 이내의 경우는 면역 글로불린을 접종하면 예방효과가 있습니다.